반응형
지분상품(Equity Instruments)과 채무상품(Debt Instruments)은 투자자가 기업이나 다른 금융 엔티티에 자금을 제공하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의 금융 상품은 소유권, 수익성, 위험성, 그리고 회수 가능성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
지분상품(Equity Instruments)
지분상품은 회사의 소유권 지분을 나타내는 금융 상품입니다. 주식이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 소유권
지분상품을 보유하면 해당 회사의 일부 소유권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주주가 회사의 이익에 대한 청구권과 회사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예: 주주총회에서의 투표권)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수익성
지분상품의 수익은 회사의 이익 성과에 따라 달라지며, 주로 배당금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하지만 배당금 지급은 회사의 이익 상황과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보장되지 않습니다. - 위험성
지분상품은 채무상품에 비해 일반적으로 더 높은 위험을 수반합니다. 회사가 파산할 경우, 채무자에게 먼저 지급된 후 남은 자산이 분배되기 때문에 손실 위험이 더 큽니다. - 장기 투자
주식은 회사의 성장에 따라 가치가 증가할 수 있어, 장기적인 투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채무상품(Debt Instruments)
채무상품은 채무자가 일정 기간 후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채권이 대표적입니다.
- 채권자와 채무자 관계
채무상품을 통해 자금을 제공한 투자자는 채권자가 되며, 자금을 받은 엔티티는 채무자가 됩니다. - 수익성
채무상품의 수익은 미리 정해진 이자율에 따라 고정적으로 발생합니다. 이는 정기적인 이자 지급이 보장되며, 만기 시 원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 위험성
채무상품은 일반적으로 지분상품보다 낮은 위험을 가집니다. 그러나 채무자의 부도 위험이 있으며, 이는 투자자가 원금과 이자를 전부 또는 일부 손실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단기 ~ 중기 투자
채권은 만기일이 정해져 있어 단기에서 중기에 걸친 투자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지분상품과 채무상품은 투자자에게 서로 다른 소유권, 수익 기회, 위험 수준을 제공합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투자 기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금융 상품에 투자해야 합니다.
반응형
'01. 세무사 시험 준비 > 01.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의 분류 _ 투자부동산, 자가사용부동산, 재고자산 (0) | 2024.03.26 |
---|---|
내부적으로 창출된 무형자산 원가에 포함되는 직접 관련 원가 (0) | 2024.03.25 |
"반품권"이 있는 제품의 회계 처리 (0) | 2024.03.15 |
희석주당이익 이란? (0) | 2024.02.20 |
기타 포괄손익에 대한 이해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