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정학에서 정부지출 증가의 원인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들이 있습니다. 브라운-잭슨, 보몰, 피코크-와이즈만, 부캐넌, 바그너의 법칙은 이러한 이론들 중 일부입니다.
아래 내용을 읽어보고 마지막에 문제를 통해 이해해 보세요.
브라운-잭슨(Brown-Jackson) 이론
- 설명: 정부 지출 증가는 정치적 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 특징: 유권자들과 정치인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협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출 증가에 주목합니다.
보몰(Baumol)의 이론
- 설명: 공공 부문은 생산성 증가가 민간 부문에 비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증가한다고 주장합니다.
- 특징: 생산성이 낮은 부문에서의 노동 비용 상승이 정부 지출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봅니다.
피코크-와이즈만(Peacock-Wiseman)의 집중적 확장 이론
- 설명: 대규모 사회적 위기(예: 전쟁, 경제 대침체)가 정부 지출의 한계를 늘린다고 주장합니다.
- 특징: 위기 상황에서 정부 지출이 증가하고, 위기가 끝난 후에도 이러한 높은 지출 수준이 유지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부캐넌(James Buchanan)의 공공선택 이론
- 설명: 정부 지출 증가는 정치인과 관료의 자기이익 추구 결과라고 주장합니다.
- 특징: 정부 관료와 정치인들이 자신의 이익과 권력 확장을 위해 지출을 증가시킨다고 봅니다.
바그너(Adolph Wagner)의 법칙
- 설명: 경제 발전과 함께 사회 복지와 관련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정부 지출도 증가한다고 주장합니다.
- 특징: 경제 성장과 복지 국가의 발전이 정부 지출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봅니다.
문제
다음 중 정부지출 증가원인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브라운-잭슨 이론은 정치적 과정과 유권자들의 상호작용이 정부 지출 증가에 영향을 준다고 본다.
- 보몰의 이론은 공공 부문의 낮은 생산성과 노동 비용 상승이 지출 증가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 피코크-와이즈만의 집중적 확장 이론은 경제 성장이 주요한 정부 지출 증가 원인이라고 본다.
- 부캐넌의 공공선택 이론은 정치인과 관료의 자기이익 추구가 지출 증가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 바그너의 법칙은 경제 발전과 사회 복지 수요 증가가 정부 지출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봅니다.
정답 및 해설
정답은 3번입니다.
피코크-와이즈만의 집중적 확장 이론은 경제 성장이 아닌, 대규모 사회적 위기가 정부 지출의 한계를 늘린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경제 성장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바그너의 법칙과 다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각 이론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01. 세무사 시험 준비 > 03. 재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세의 초과부담은 무엇인가? (0) | 2024.02.05 |
---|---|
세무사 1차 재정학 _ 비용-편익 분석 (현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 (1) | 2024.01.24 |
세무사 1차 재정학 _ 소득재분배정책 (로렌츠 곡선, 지니 계수, 앳킨스 지수) (0) | 2024.01.24 |
세무사 1차 재정학 _ 사회후생함수 (롤즈와 센의 이론) (0) | 2024.01.23 |
세무사 1차 재정학 _ 예산제도 (품목별 예산제도, 프로그램 예산제도, 영기준 예산제도)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