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VP(원가-양-이익) 분석은 기업이 손익분기점을 결정하고, 판매량 변화가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대부분의 CVP 분석은 선형 함수를 기반으로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비용 구조나 판매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선형 CVP 분석은 비용, 판매 가격, 판매량 간의 관계가 일정하지 않을 때 유용합니다.
사례
회사 A가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이 회사의 경우, 대량 생산 시 경제의 규모로 인해 단위당 변동비용이 감소하거나, 반대로 과도한 생산으로 인해 단위당 변동비용이 증가하는 비선형 비용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초기 조건 고정비용: $10,000
- 초기 단위당 판매 가격: $50
- 초기 단위당 변동비용: $30
비선형 조건
- 판매량이 1,000단위를 초과하면, 대량 구매로 인해 원재료 비용이 단위당 $5 감소합니다.
- 그러나, 판매량이 2,000단위를 초과하면, 생산 과부하로 인해 추가 인력과 설비 유지 비용이 단위당 변동비용을 $10 증가시킵니다.
손익분기점 계산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의 비선형 관계로 인해 손익분기점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판매 구간에 대한 순이익을 별도로 계산해야 합니다.
1. 1,000단위 이하 구간
- 손익분기점 = 고정비용 / (판매 가격 - 단위당 변동비용)
- 손익분기점 = $10,000 / ($50 - $30) = 500단위
2. 1,000단위 초과 ~ 2,000단위 이하 구간
- 단위당 변동비용이 $25로 감소합니다.
- 새로운 손익분기점을 계산하려면 이 구간에서의 추가 고정비용과 새로운 변동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3. 2,000단위 초과 구간
- 단위당 변동비용이 다시 $40으로 증가합니다. 이 구간의 손익분기점은 더 높은 판매량을 필요로 합니다.
비선형 CVP 분석에서는 판매량 증가에 따른 비용 구조의 변화를 고려하여 여러 손익분기점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는 기업이 생산 및 판매 전략을 세울 때, 비용 절감과 수익 극대화를 위해 어느 지점에서 생산량을 조절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비선형 CVP 분석은 변동비용, 판매 가격, 고정비용의 변화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 더욱 유용합니다.
반응형
'01. 세무사 시험 준비 > 01.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일점추정치 _ 통계학 (0) | 2024.04.22 |
---|---|
관련원가 분석이란? _ 회계학 (1) | 2024.04.15 |
배부차이 조정법 _ 배출원가조정법, 비례배분법, 영업외손익법 (0) | 2024.04.13 |
품질원가의 종류 _ 예방원가, 평가원가, 내부실패원가, 외부실패원가 (0) | 2024.04.12 |
상환우선주란 무엇인가?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