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세무사 시험 준비/01. 회계학

2023년 세무사 1차 회계학 기출문제 분석: 문제 1. 역사적원가, 공정가치, 현행원가

by 문어의꿈 2024. 1. 27.
반응형

문제

(주)세무는 20X1년 초에 100,000원을 지급하고 토지를 취득했습니다. 취득 당시 20,000원의 거래원가가 추가로 발생했고, 같은 해 말에는 해당 토지를 취득하기 위해 110,000원과 추가로 5,000원의 취득 관련 거래원가가 필요했습니다. 한편, 20X1년 말 시장에서는 이 토지를 98,000원에 매도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거래원가 20,000원을 차감해야 했습니다. 이때, 토지의 역사적 원가, 공정 가치, 현행 원가를 크기가 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하면 어떻게 되는지 묻는 문제입니다.

  1. 역사적원가 > 현행원가 > 공정가치
  2. 역사적원가 > 공정가치 > 현행원가
  3. 현행원가 > 공정가치 > 역사적원가
  4. 현행원가 > 역사적원가 > 공정가치
  5. 공정가치 > 역사적원가 > 현행원가

 

정답 해설

  • 역사적원가 계산: 초기 취득가 100,000원과 추가 거래원가 20,000원을 합산하여, 역사적 원가는 120,000원입니다.
  • 현행원가 계산: 해당 연도 말의 취득가 110,000원과 추가 거래원가 5,000원을 합산하여, 현행 원가는 115,000원입니다.
  • 공정가치 계산: 시장에서의 매도 예상가격 98,000원에 초기 거래원가 20,000원을 더하여, 공정가치는 118,000원입니다.

 

이를 통해, 역사적 원가는 120,000원, 공정가치는 118,000원, 현행원가는 115,000원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역사적원가 > 공정가치 > 현행원가가 됩니다.

 

이 문제는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기준에 대한 이해를 평가합니다. 회계 기준에 따른 각각의 원가 계산 방법과 그 적용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실제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원가를 계산하는 연습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Disclaimer ]

위 내용은 개인적으로 세무사를 준비하면서 기출문제를 풀면서 도움을 받기 위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참고하실 분들은 활용하시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글을 공유한 것입니다. 자세한 풀이와 내용에 대해서는 각자의 책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