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세무사 시험 준비/03. 재정학

확실성 등가는 무엇인가? _ 재정학

by 문어의꿈 2024. 4. 11.
반응형

확실성 등가(Certainty Equivalent, CE)는 위험을 수반하는 상황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제학 및 재무 이론의 개념입니다. 이는 투자자나 소비자가 특정 불확실한 수익에 대해 확실한 수익과 동일하게 평가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즉, 확실성 등가는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에 받아들일 수 있는 확실한(위험이 없는) 수익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확실성 등가의 의미

  • 위험에 대한 태도
    확실성 등가는 개인의 위험 회피 정도를 반영합니다. 위험을 크게 회피하는 사람은 낮은 확실성 등가를 가질 것입니다. 즉, 불확실한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기대 수익보다 훨씬 낮은 확실한 수익에도 만족할 것입니다. 반면, 위험을 적게 회피하는 사람의 확실성 등가는 더 높을 것입니다.
  • 기대효용
    확실성 등가는 개인이 불확실성 상황에서 기대하는 효용과 확실한 상황에서의 효용이 동일한 지점을 나타냅니다.

확실성 등가의 계산

확실성 등가는 기대효용 이론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기대효용과 동일한 효용을 제공하는 확실한 금액을 찾는 과정을 통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불확실한 투자가 50%의 확률로 100달러를, 50%의 확률로 0달러를 제공한다고 가정했을 때, 기대 수익은 50달러입니다. 만약 어떤 투자자가 이러한 불확실한 투자 대신 40달러의 확실한 수익에 만족한다면, 그의 확실성 등가는 40달러가 됩니다. 이는 투자자가 위험을 회피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확실성 등가의 중요성

  • 투자 결정
    투자자는 확실성 등가를 사용하여 불확실한 투자 기회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가 위험을 어느 정도까지 수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보험과 위험 관리
    확실성 등가는 개인이 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을 결정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보험에 가입하면서 보험료로 지불하는 금액은 일종의 확실성 등가로 볼 수 있습니다.

 

확실성 등가는 개인의 위험 선호도를 이해하고, 불확실성이 내재된 결정 상황에서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