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화선도(Currency Forward)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환율을 고정하여 외화를 사거나 팔기로 하는 계약입니다. 이는 외환시장에서 활용되는 파생금융상품의 한 형태로, 환율 변동 위험으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기업이나 개인에 의해 주로 사용됩니다.
통화선도의 주요 특징
- 고정 환율
통화선도 계약을 통해 양 당사자는 미래의 특정 날짜에 특정 환율로 특정 금액의 외화를 사거나 팔 것을 약속합니다. 이 환율은 계약 시점에 결정되며, 계약 만기까지 고정됩니다. - 비거래소 상품
통화선도는 주로 OTC(장외거래) 시장에서 거래되며,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직접 맞춤화된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합니다. - 위험 관리 도구
환율 변동 위험을 헷지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수출입 기업, 다국적 기업, 투자자 등이 미래의 환율 변동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유연성
계약 조건(금액, 환율, 만기일 등)은 당사자 간의 협의에 따라 맞춤 설정될 수 있어, 다양한 환경과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통화선도의 사용 예
- 수출 기업
미래에 외화로 결제받을 수출 대금에 대해, 현재 환율로 환전하기 위해 통화선도 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래에 환율이 불리하게 변동되더라도 고정된 환율로 환전할 수 있어 수익성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 수입 기업
미래에 외화로 결제할 수입 대금에 대해, 현재 환율로 미리 환전 약정을 함으로써 환율 상승으로 인한 추가 비용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통화선도는 글로벌 금융 환경에서 환율 변동 위험을 관리하는 효과적인 도구이지만, 계약 조건, 시장 상황, 환율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반응형
'01. 세무사 시험 준비 > 01.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즉시상각의제는 무엇인가? (0) | 2024.02.18 |
---|---|
자본적지출과 수익적지출은 무엇인가? (0) | 2024.02.18 |
현할차상각액, 연지급수입이자는 무엇인가? (0) | 2024.02.17 |
관련원가분석 _ 원가회계 (0) | 2024.02.17 |
"장기연불조건으로 매입한 자산"은 무엇인가?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