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속행위와 재량행위는 행정법에서 행정기관의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따라 구분되는 두 가지 유형의 행위입니다. 이 두 가지 행위는 행정기관의 재량권의 범위와 적용에 따라 다르며, 각각의 특성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속행위
기속행위(규칙행위)는 법령이나 규정에 따라 행정기관의 재량권이 제한되어 있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즉, 법률이나 규정에서 특정한 사실이 존재하면 행정기관은 반드시 일정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경우입니다. 여기서 행정기관은 법령에 규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그 결정이나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으며, 그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면허증을 발급하는 경우가 기속행위에 해당합니다. 시험 합격이라는 명확한 기준에 따라 면허 발급이 결정되며, 이 경우 행정기관은 합격자에게 면허를 발급해야 하는 법적 의무가 있습니다.
재량행위
재량행위는 행정기관이 법령의 테두리 안에서 일정한 사안에 대해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행위를 말합니다. 여기서 행정기관은 법령이 정한 일정한 기준이나 범위 내에서 여러 가능성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이는 사안의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건축허가의 경우 행정기관은 해당 지역의 환경, 주변 상황, 도시계획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건축허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행정기관은 법령에서 제공하는 기준과 범위 내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는 재량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분의 중요성
기속행위와 재량행위를 구분하는 것은 행정행위의 법적 성질을 이해하고, 행정기관의 결정에 대한 법적 검토를 하는 데 중요합니다. 기속행위의 경우, 법령의 명확한 규정에 따라 결정되므로 법적 분쟁이 발생했을 때 판단 기준이 명확합니다. 반면, 재량행위는 행정기관의 판단과 선택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검토는 해당 재량권이 법령에 따라 적절하게 행사되었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이러한 구분은 행정기관의 결정에 대한 이해와 법적 분쟁 해결에 있어 기본적인 출발점이 됩니다.
'01. 세무사 시험 준비 > 04. 행정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행정지와 집행부정지원칙" 이란? (0) | 2024.02.11 |
---|---|
행정소송은 무엇인가? (1) | 2024.02.10 |
사정판결은 무엇인가? _ 일반적 의미와 행정소송법에서의 의미 차이 (0) | 2024.02.09 |
항고소송에서의 공격방어방법이란? (0) | 2024.02.09 |
"사실심 변론종결"은 무엇인가?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