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합원가계산(By-Product Costing)은 부산물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주요 제품과 함께 부산물이 생산되는 제조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결합원가계산의 목적은 주요 제품의 생산 원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부산물의 가치를 적절히 평가하여 전체적인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결합원가계산의 기본 원칙
- 부산물의 수익
부산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은 주요 제품의 생산 원가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즉, 부산물 수익을 주요 제품의 원가에서 차감하여 실제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원가 할당
부산물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기인하는 원가가 명확하게 식별되지 않는 경우, 총 생산 원가에서 부산물의 예상 판매 가치를 차감하여 주요 제품의 순 원가를 계산합니다.
계산 사례
제조 회사가 나무를 가공하여 가구(주요 제품)를 만들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나무 부스러기를 부산물로 판매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회사의 총 생산 원가가 $100,000이고, 나무 부스러기(부산물)의 예상 판매 가치가 $10,000인 경우, 결합원가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주요 제품과 부산물의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가 계산
- 총 생산 원가: $100,000
- 부산물의 예상 판매 가치: $10,000
- 주요 제품의 순 생산 원가 계산
주요 제품의 순 생산 원가 = 총 생산 원가 - 부산물의 예상 판매 가치 = $100,000 - $10,000 = $90,000
이 사례에서 부산물의 판매 가치를 총 생산 원가에서 차감함으로써, 주요 제품의 순 원가를 $90,000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계산된 원가는 주요 제품의 가격 책정 및 수익성 분석에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결합원가계산은 부산물의 경제적 가치를 인정하고, 전체 생산 과정의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방식은 부산물을 생성하는 제조 과정에서 특히 유용하며, 주요 제품의 원가 계산에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응형
'01. 세무사 시험 준비 > 01.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원가계산 및 초변동원가계산 _ 원가회계 (1) | 2024.02.15 |
---|---|
정상원가계산 및 표준원가계산 _ 원가회계 (1) | 2024.02.15 |
종합원가계산 _ 원가회계 (0) | 2024.02.14 |
활동기준원가 계산 _ 원가회계 (1) | 2024.02.14 |
개별원가계산 _ 원가회계 (0) | 2024.02.14 |